|
|
|
|
|
|
|
|
1. 작 업 개 요 |
|
|
|
|
|
|
|
|
|
|
|
|
|
1) 공 사 명 : ㅇㅇ단지조성공사 현장내 보강토옹벽 공사 |
|
|
|
|
|
|
|
|
|
|
2) 공사장소 : 경기도 00 일원 |
|
|
|
|
|
|
|
|
|
|
3) 시 공 사 : |
|
|
|
|
|
|
|
|
|
|
4) 공 사 규 모 |
|
|
|
|
|
|
|
|
|
|
|
|
|
|
|
공 종 |
수 량 |
공 종 |
수 량 |
|
|
터 파 기 |
102 |
㎥ |
표준 블록쌓기 |
420 |
㎡ |
|
|
되메우기 |
81 |
㎥ |
마감 블록 쌓기 |
60 |
m |
|
|
잔토처리 |
21 |
㎥ |
T.S Geogrid 포설 |
2,822 |
㎡ |
|
|
보강토 다짐 |
1,829 |
㎥ |
기초 잡석 포설 |
- |
㎥ |
|
|
채움 잡석 |
174 |
㎥ |
기초 Con'c 타설 |
10 |
㎥ |
|
|
|
|
|
|
|
|
|
5) 블록유형및 색상선택 |
|
|
|
|
|
|
|
|
|
|
|
|
|
|
|
블록은 전단키 형식의 표준형을 사용하고 색상은 무색 및 적갈색을 단일 또는 혼용할수 |
|
|
있으며, 당현장은 황색블록을 기준으로 시공한다. |
|
|
|
|
|
|
|
|
|
6) 시방서의 작성 목적 |
|
|
|
|
|
|
|
|
|
|
|
|
|
|
|
본 시공 계획서는 도면에 작합한 시공과, 철저한 품질 관리를 위한 작업방법 및 검사, |
|
|
시험 계획을 수립하여 능률적이고 효과적인 공정 계획을 수립 할 뿐 아니라, 이를 |
|
|
모든 작업자에게 주지시켜 체계적인 시공관리를 함으로서 고객이 시방에 요구하는 |
|
|
품질을 확보하고 환경 영향을 최소화 하며 안전한 작업을 수행하기위한 목적으로 |
|
|
작성 되었다. |
|
|
|
|
|
|
|
|
|
|
|
|
|
|
7) 범 위 (Work Scope ) |
|
|
|
|
|
|
|
|
|
|
|
|
|
|
본 시공계획서는 "ㅇㅇ단지조성공사 현장내 보강토옹벽 공사' 전반에 |
|
|
걸쳐 적용하며, 연장L=000m, 높이H=0.0m를 기준으로 작성한 것 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작업 흐름도 ( Flowchart ) |
|
|
|
|
|
|
|
|
|
|
|
|
|
|
|
|
|
|
|
|
|
㉠ 현장 및 설계도면검토 |
|
|
|
|
|
|
|
|
|
|
|
|
Bitmap
|
|
|
|
|
|
|
|
|
|
|
|
|
|
|
|
㉡ 공정 계획 수립 |
|
|
|
|
|
|
|
|
|
|
|
|
Bitmap
|
|
|
검 측 |
도면대조 및 현장적정 여부 검토 |
|
|
|
|
( 필요시 재설정 ) |
|
㉢ 측량 및 기준점 설정 |
|
|
현장 감독관 확인 |
|
|
|
|
Bitmap
|
|
|
|
|
|
|
|
|
|
|
|
|
|
|
|
㉣ 법면 및 기초 터파기 |
|
|
|
|
|
|
|
|
|
|
|
|
Bitmap
|
|
|
|
|
|
|
|
|
|
|
|
|
|
|
|
㉤ 원지반다짐(90%) |
|
|
|
|
|
|
|
|
|
|
|
|
Bitmap
|
|
|
검 측 |
평판재하시험(필요시) |
|
|
|
|
|
㉥ 기초잡석 또는 Con'c 타설 |
|
|
|
|
|
|
|
|
|
|
|
|
Bitmap
|
|
|
|
|
|
|
|
|
|
|
|
|
|
|
|
㉦ 표준형 블록 쌓기 |
|
|
|
|
|
|
|
|
|
|
|
|
Bitmap
|
|
|
검 측 |
선형 및 수평 검토( 육안 , Level) |
|
|
|
|
(수직선형 및 기울기 Check ) |
|
㉧보강토 포설및 다짐 |
|
|
|
|
|
|
|
|
|
|
|
|
Bitmap
|
|
|
검 측 |
들밀도시험(필요시) |
|
|
|
|
|
|
|
㉨보강재 포설및 다짐 |
|
|
|
|
|
|
|
|
|
|
|
|
Bitmap
|
|
|
검 측 |
육안 검측 (포설상태 점검 ) |
|
|
|
|
|
㉩. ㉦ - ㉨ 반복 시공 |
|
|
|
|
|
|
|
|
|
|
|
|
Bitmap
|
|
|
|
|
|
|
|
|
|
|
|
|
|
|
|
㉪ 마감 블록 설치후 완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세부 공정별 작업 방법 |
|
|
|
|
|
|
|
|
|
|
|
|
|
공 종 |
작 업 방 법 |
확 인 |
|
|
|
|
|
|
|
|
◈ 설계 도면 검토 |
설계도면의 적정, 또는 누락여부 검토 |
|
|
|
|
|
|
|
|
|
|
설계 도면에 따른 공사수행의 적정성 검토 |
|
|
|
|
|
|
|
|
|
|
|
|
|
|
|
|
◈ 공정계획 수립및 검토 |
자재운반 차량의 진출입로 확보 및 세륜시설 위치 확인 |
|
|
|
|
|
|
|
|
|
|
현장관리 조직표 및 주요시공 계획과 환경대책 수립 |
|
|
|
|
|
|
|
|
|
|
현장여건등, 제반사항 검토후 세부 공정 계획 수립 |
|
|
|
|
|
|
|
|
|
|
자재및 골재 적치장 검토후 위치선정 |
|
|
|
|
|
|
|
|
|
|
|
|
|
|
|
|
◈ 시공측량 및 기준점 설정 |
종단별 I.P점 TBM 수준점 확인 - 필요시 |
|
|
|
|
|
|
|
|
|
(현장 시공사 확인 득) |
종단중심선 및 경계측량 확인 - 시공사(또는 원청사) 확인 득 |
|
|
|
|
|
|
|
|
|
|
기준점 및 규준틀 설치후 관리, 점검 - 필요시 |
|
|
|
|
|
|
|
|
|
|
|
|
|
|
|
|
|
◈ 기초지반 관리 |
옹벽설치 예정구간에 맞게 터파기 level 확인. |
|
|
|
|
|
|
|
|
|
|
25㎜ 이하 골재를 20㎝ 이상 고르게 펴 수평이 되도록 다짐. |
|
|
|
|
|
|
|
|
|
|
옹벽고가 높거나 지반이 약한경우 또는 기초지반의 지지력 |
|
|
|
|
|
|
|
|
|
|
상태가 고르지 않은 경우 콘크리트 기초를 채택 하여야 한다. |
|
|
|
con'c 기초시 규격은 H=20-25㎝, B=70-80㎝를 기준르로 한다. |
|
|
|
당 현장은 야산을 절토하여 사면구성을 하므로 con'c기초로 선택하여 |
|
|
|
시공한다. |
|
|
|
|
|
|
|
|
|
|
|
◈ 표준형 블록 쌓기 |
기초 콘크리트 위에 블록 첫단을 설치할때는 수평 조절을 위해 |
|
|
세모래 및 골재와 혼합된 분체시멘트 매트를 깔고 블록을 거치, |
|
|
수평을 잡는다. |
|
|
|
|
|
|
|
|
|
|
직선구간은 좌,우 실을 띠워 정확한 선형을 잡아야 한다. |
|
|
|
|
|
|
|
|
|
|
속채움 골재를 채우기전에 블록의 선형을 미리잡아야한다. |
|
|
|
|
|
|
|
|
|
|
블록의 속채움잡석을 채운후 공극이 발생치 않도록 한다. |
|
|
|
|
|
|
|
|
|
|
블록설치가 완전히 끝난후 보강토 포설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공 종 |
작 업 방 법 |
확 인 |
|
|
|
|
|
|
|
|
◈ 보강재 포설 |
보강재는 설계보다 5-10㎝ 정도 여유를 두어 절단한다. |
|
|
|
|
|
|
|
|
|
|
|
작업시 보강재를 뒷길이가 비슷하다 하여 위사방향으로 포설할 |
|
|
|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 한다. |
|
|
|
|
|
|
|
|
|
|
|
위, 경사방향 모두 평탄하게 당겨 블록 전면부에서 3 - 5㎝ |
|
|
|
후퇴된 지점에 일치시켜 편다. |
|
|
|
|
|
|
|
|
|
|
|
구간보강재 설치가 끝나면 다음단 블록을 거치시키고 보강재는 |
|
|
|
뒤에서부터 팽팽하게 당겨 고정시킨다. |
|
|
|
|
|
|
|
|
|
|
|
그리드가 포설되는 블록 뒷부분의 잡석및 토사는 블록보다 4-5㎝ |
|
|
|
높게 마감되는것이 유리하다. 이는 차후에 있을 미세한 침하시 |
|
|
|
블록의 날카로운 후미부에 의해 보강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 |
|
|
|
하기 위함이다. |
|
|
|
|
|
|
|
|
|
|
|
|
|
|
|
|
|
◈ 보강토 부설 |
보강토는 30㎝-40㎝ 범위내에서 성토하고 다짐을 수행한다. |
|
|
|
|
|
|
|
|
|
|
|
블록 전면으로부터 1m 까지는 블록의 밀림 방지를위해 1Ton |
|
|
|
로울러로 다짐한다. |
|
|
|
|
|
|
|
|
|
|
|
보강토 포설이 끝나면 1회 다짐후 다짐면의 요철은 인력으로 |
|
|
|
면고르기를 수행한후 배면 공간에 따라 적절한 다짐. |
|
|
|
|
|
|
|
|
|
|
|
현장다짐 밀도는 90% 이상이어야 하고, 필요에 따라 감독관의 |
|
|
|
주관하에 다짐밀도 검측을 받아야 한다. |
|
|
|
|
|
|
|
|
|
|
|
당 현장은 1구간당 1공을 기본으로하며, 감리 및 감독관 협의하에 |
|
|
|
추가로 다짐시험을 시행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함수비시험을 시행 |
|
|
|
하여 적정한 다짐정도를 check 한다. |
|
|
|
|
|
|
|
|
|
|
|
보강토의 상태가 건조하여 충분한 다짐밀도가 의심 될 경우, 보강토의 |
|
|
|
표면에 약간의 살수를 시행하여 충분한 밀도가 확보되도록 한다. |
|
|
|
|
|
|
|
|
|
|
|
뒷채움 재료는 현장에서 구득이 용이한 재료이어야 하며 함수율이 |
|
|
|
높으면 현장에서 말려 사용한다. |
|
|
|
|
|
|
|
|
|
|
|
Ø150 mm 이상의 암편이나 나뭇가지 등 기타 이물질이 함유되지 |
|
|
|
않은 양질의 토사만을 사용한다. |
|
|
|
|
|
|
|
|
|
|
|
|
|
|
|
|
|
◈ 기타 부대공 |
배수 유공관은 Ø150 mm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
|
|
|
(단 소규모 옹벽은 벽체로 배수를 하며, 유공관을 생략할수 있다) |
|
|
|
|
|
|
|
|
|
|
|
배수 유공관 주위는 부직포 또는 잡석으로 충분히 감싸준다. |
|
|
|
|
|
|
|
|
|
|
|
|
|
|
|
|
|
공 종 |
작 업 방 법 |
확 인 |
|
|
|
|
|
|
|
|
|
|
유공관 설치용 잡석은 25mm 이하의 규격으로 사용하고 충분히 |
|
|
|
다진다. |
|
|
|
|
|
|
|
|
|
|
|
마감처리는 견고해야 함으로 반드시 에폭시나 몰탈 처리한다. |
|
|
|
|
|
|
|
|
|
|
|
상단블록과 마감블록의 접촉면은 깨끗이 청소하고 습기를 없앤후 |
|
|
|
작업을 진행한다. |
|
|
|
|
|
|
|
|
|
|
|
상단 플륨관은 특수한 경우 (산 절토면 마무리 ) 를 제외하고는 |
|
|
|
설치하지 않으며, 우수처리는 뒷채움 골재를 통해 하부 유공관 |
|
|
|
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
|
|
|
|
|
|
|
|
|
|
|
|
|
|
|
|
|
※ 참고사항 : 자재검수 결과표 |
|
|
|
|
|
|
|
|
|
|
|
|
|
◈ 자재 시험 결과표 |
|
|
|
|
|
|
|
|
|
|
|
|
|
|
|
▶ 표준형 블록 |
|
|
|
|
|
|
|
|
|
|
|
|
|
|
|
시 험 항 목 |
기준치 |
시험결과 |
합격유,무 |
비고 |
|
|
압축강도(재령28일) |
210Kgf/Cm2 |
263 |
합격 |
|
|
|
254 |
합격 |
|
|
|
|
|
|
|
|
|
|
|
▶ 보강재 (G.G Grid) |
|
|
|
|
|
|
|
|
|
|
|
|
|
|
보강재 TYPE |
인장강도 ( 기준치) |
시험결과 |
비고 |
|
|
|
|
|
|
|
|
T.S Grid 20 T |
20 T / m |
|
|
|
|
T.S Grid 18 T |
18 T / m |
|
|
|
|
T.S Grid 15 T |
15 T / m |
17 |
|
|
|
T.S Grid 10 T |
10 T / m |
14 |
|
|
|
T.S Grid 8 T |
8 T / m |
10 |
|
|
|
T.S Grid 6 T |
6 T / m |
7 |
현장 적용 |
|
|
T.S Grid 5 T |
5 T / m |
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