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강토 공법은 보강대상 구조물에 따라 표와 같이 넓게 분류될 수 있으며, 본절에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대표적인 보강토옹벽 형태를 정리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보강토옹벽은 성토체에 보강재를 수평으로 포설하면서 전면 벽체를 수직으로 적층하고, 전면벽체와 보강재를 연결함으로써 수직한 성토체를 구축하는 공법이다. |
구분 |
형태 |
관련공법 |
벽면을 갖는 성토의 보강토 옹벽 |
 |
- Terre Armee공법 - Geogrid 보강토공법 - York식 성토공법 - 다수 앵커식 공법 - TRRL식 앵커공법 등 |
지반성토의 보강공법 |
 |
- Geosynthetics에 의한 표층 - 지반처리공법 및 성토보강 공법 |
자연 사면의 보강공법 |
 |
- 철근류 삽입공법 - 망상 철근 삽입 공법 등 | |
• 보강토 공법의 특징 |
옹벽의 설치목적은 절?성토를 막론하고 토지의 가용면적을 높이기 위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옹 벽 축조로 생기는 배면 부지는 조경을 목적하는 화단같이 별다른 부가하중이 필요치 않는 부분도 있겠으나 중하중의 도로, 철도 노반, 대규모의 택지조성등 중요 구조물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여러 가지 고려요소가 있겠으나 우선 안정성에 중점을 두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에 보강 토 옹벽은 공히 안정성에 문제가 없다는 전제하에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 장점 |
1. 수직 성토가 가능하다 |
보강토 공법은 당초부터 수직성토를 목표로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수직한 벽면을 갖는 것은 보강토 공법의 기본적인 특징이다. 따라서, 한정된 용지를 유용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
2. 공장제품 사용 |
본 공법에서 사용되는 보강재와 벽면재는 전부 공장제품이기 때문에 현장 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이 곤란한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며 자재의 품질면에서도 신뢰성이 높다. |
3. 시공 용이, 공기단축 |
콘크리트 옹벽과 같은 규모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필요치 앟으며, 성토재 포설 및 다짐, 보강재 포설, 벽면재 조립등을 반복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특수한 시공 장비가 필요하지 않고 시공이 용이하며 공기가 짧다. |
4. 성토체의 품질확보 |
본 공법에서는 일정한 성토두께마다 보강재가 포설되기 때문에 필연적 으로 얇은 성토층을 다짐하는 것으로 되어 다짐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상대적으로 적다. |
5. 유연한 구조체 |
자체 중량과 강성에 의해 토압에 저항하는 구조인 콘크리트 옹벽에 비해 소형 벽면재와 보강재의 연결 및 보강재와 흙 사이의 마찰에 의해 저항하는 구조인 보강토옹 벽은 보다 유연한 구조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기초지반에 다소의 부등침하가 생겨도 벽면재와 보강재의 기능 손상없이 어느 정도의 침하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
6. 기초처리 간단 |
콘크리트 옹벽에서는 벽체높이가 높고 기초지반의 지지력이 낮은 경우에는 말뚝기초 등이 필요한 반면, 보강토 옹벽에서 벽체 아래의 기초처리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간 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① 보강토 공법의 벽면재는 콘크리트 옹벽에 비해 얇고, 전체중량 은 매우 작다. ② 보강토 공법에 의한 성토는 부등침하에 대하여 어느정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벽면만을 견고하게 지지할 필요는 없다. |
7. 경제성 |
주자재가 공장제품 이므로 운반 및 취급이 간편하고 뒤채움재는 현장토를 유용하 므로 재료비 및 운반비가 절감되며, 콘크리트 옹벽과는 달리 소요 부지면적 확보에 따른 보상 비가 필요치 않고, 또한 간편한 시공으로 공기 단축(타 공법대비 30~50% 공기단축)에따른 간접비가 절감된다. |
8. 아름다움 창출 |
블록의 우아한 곡선과 그림자가 어우러진 질감있는 표면, 기하학적 구조로 서의 독특한 美로 주위 경관과 조화를 잘 이룰뿐 아니라 필요시 블록에 색상을 넣어 다양한 색상의 옹벽을 축조하여 아름다움을 창출할 수 있다. | |
• 뛰어난 내진성 |
보강토옹벽이 내진성이 가장 뛰어난 가장 큰 이유는 보강토옹벽이 연성구조물(Flexable Structure) 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는 또 보강재(변형율-13%)의 충격흡수 역할과 부등침하 나 기타충격에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이며 강성구조물이 자체 흡수력을 가지지 못하고, Crack이 가면서 붕괴 되는것과 달리 보강재의 아래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유연한 구조물을 축조 할 수 있다.
① 보강기능(Reinforcement) ② 충격흡수기능(Absorption) ③ 여과기능(Filteration) ④ 분리기능(Drainage) ⑤ 포장기능(Wrapping) |
|
• 보강토 공법의 종류 |
① 공법 ② Geogrid 보강토공법 ③ York식 성토공법 ④ 다수 앵커식 공법 ⑤ TRRL식 앵커공법 등 |